자유게시판

“세계경제포럼, 2025년 10대 미래 유망 기술”

  • 2025-07-27 (00:00)
  • 129 hit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 2025년 10대 미래유망기술

 

 

금회는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watch에 게재된 WEF, 2025년 10대 미래유망기술를 전송드립니다. 

최근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은 Frontiers와 협업으로 “Top 10 Emerging Technologies of 2025”을 발표하였습니다전문가 추천과 AI 기반 데이터 분석을바탕으로산업·사회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10대 유망기술을 

AI 기반 트렌드 분석기(AI Trend Analyzer)를 활용하여 후보기술을 도출하고기술별 과학적 진보전략적 영향생태계 준비도확산 가능성시스템 수준 변화 가능성 등 5개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습니다.

 

10대 미래유망기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에너지전환기술

 ▶구조형 배터리 복합소재(Structural Battery Composites): 에너지 저장 기능과 구조적 강도를 동시에 제공하는 복합 소재로차량이나 항공기의 외장 구조물 자체가 배터리 역할을 수행

 ▶삼투압 발전 시스템(Osmotic Power Systems)염분 농도 차이를 활용해 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로담수화·자원 회수 공정과 연계되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

 ▶차세대 원자력 기술(Advanced Nuclear Technologies)소형모듈원자로(SMR)와 고온가스냉각로 등 차세대 원자로 기술을 기반으로분산형 청정에너지 공급과 산업 탈탄소화를 동시에 추진하는 신형 원자력 시스템

 ▶그린 질소 고정(Green Nitrogen Fixation): 고온·고압·화석연료 기반의 기존 질소 고정 대신전기화학·생물학 기반 기술을 활용해 암모니아를 분산형·저탄소 방식으로 생산하는 차세대 식량·에너지 전환 기술

 

② 정밀의료기술

 ▶신경퇴행성 질환용 GLP-1 계열 치료제(GLP-1s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 GLP-1 수용체 작용제를 활용해 알츠하이머·파킨슨병의 염증·독성 단백질 제거 등 신경보호 효과를 기대하는 약물 재창출 전략

 ▶자율 생화학 센서(Autonomous Biochemical Sensing): 에너지 자가공급·무선통신 기반 생물학적 센서를 통해 인체건강·환경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자율 감지 기술

 ▶살아있는 치료제(Engineered Living Therapeutics): 유전공학으로 설계된 미생물이 체내에서 약물을 자가 생산·분비함으로써 치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차세대 생체 기반 치료 시스템

 ▶나노자임(Nanozymes): 자연 효소의 기능을 모방하면서도 더 높은 안정성과 저비용 생산을 가능케 하는 인공 촉매 나노 소재로정밀의료·환경정화·산업촉매 등에서 차세대 대체 기술로 부상 중

 

③ AI기반기술

 ▶협업 감지(Collaborative sensing): 센서 간 실시간 연결과 AI 융합을 통해 환경·도시·모빌리티 등의 데이터를 공동 분석하고맥락 인식 기반의 자율적 판단을 가능하게 하는 분산형 감지 네트워크 기술

 ▶생성형 워터마킹(Generative Watermarking)생성형 AI 콘텐츠에 식별 가능한 워터마크를 삽입해 진위와 출처를 검증함으로써정보 신뢰성과 디지털 투명성을 확보하는 기술

 

2형 당뇨병, 비만 치료제로 개발된 GLP-1 수용체 작용제(GLP-1RAs)가 알츠하이머병파킨슨병 등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제로 적용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물질의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 기전은 항염증항산화독성 단백질 제거 및 뇌세포 생존력 증진 등을 통한 질병 조절로임상시험이 추진 중입니다.

GLP-1 시대입니다.

 

업무에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게시자 주 : 

“세계경제포럼, 2025년 10대 미래 유망 기술” 全文을 보고 싶은 분은  [  kimpj1@naver.com - 김필주 기술사 ]메일로 요청하시면 보내드립니다.